위험물/위험물기능장
보일오버현상(boil over)
Safetys
2021. 3. 12. 03:27
보일오버(boil over)란?
정의 - 중질유탱크에 화재 시 열파가 서서히 전파되어 탱크의 저부에 있는 물에 도달하였을 때 물이 갑자기 증발하여 대량의 수증기가 발생하여 탱크 내 잔존기름이 분출하는 현상.
쉽게 말해 위험물을 저장하는 탱크에는 탱크 내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결로현상이 발생함으로 물이 수시로 생기게 됩니다. 이 경우 물과 기름이 공존하게 되는데 물의 비중보다 기름의 비중이 가볍기때문에 기름은 위로 올라가고 물은 아래로 가게됩니다. 이 상황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시 탱크가 달궈지면서 탱크의 저부에 있는 물이 온도에 의해 수증기로 변하게 되면서 기름이 분출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위험물 탱크를 관리하게 되면 평상 시 수시로 수분을 제거해주는 작업을 해줘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위험물기능장 실기 39회의 과년도 기출문제임으로 암기하셔야 합니다.
슬롭오버(Slop Over)
슬롭오버의 정의 : 물이 연소유의 뜨거운 표면으로 들어갈 때 기름 표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현상
쉽게말해 기름이 타고있는 상황에서 물(소화액)을 뿌렸을 때 물이 빠르게 기화하면서 불이 붙은 기름이 분출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프로스오버(Froth Over)
프로스오버의 정의 : 물이 뜨거운 기름 표면 아래서 끓을 때 화재를 수반하지않고 용기에서 넘쳐흐르는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