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에 관한 자격증 리뷰

가스기능장

by Safetys 2021. 10. 7.

첫 자격증 리뷰로 가스기능장을 선택하였습니다. 가스기능장은 산업현장에서 고압가스, 도시가스, 액화석유가스의 관리 자격에 해당하는 전문 자격증으로 취업 시 우대를 받는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가스 자격증은 전기자격증과 더불어 어려운 시험 중 하나인데 자격 취득자가 그렇게 많지가 않고 산업안전자격증처럼 많이 응시하는 자격증은 아닙니다.

허나 고압가스를 일정량 이상 사용하려면 자격증 소지자만이 법적선임이 가능하기에 꼭 필요한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가스 자격증은 가스기능사, 가스산업기사, 가스기사, 가스기능장, 가스기술사 순으로 뒤로 갈수록 난이도가 있으며 각 자격증마다 응시자격이 다 다릅니다. 

 

고압가스의 사용량 및 저장량에 따라 가스 선임자격증도 달라지는데 가스산업기사 이상이면 선임용량이 무제한이어서 가스산업기사~가스기술사까지는 선임용량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급에 따라 취업 시 약간의 이점이 된다는 정도가 차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가스기능장은 기사, 산업기사와 달리 필기에 과락이 없기때문에 조금 더 쉽다고 볼 수는 있으나 실기에서 난이도가 확 올라가기때문에 전체적으로 보면 조금 더 난이도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허나 실기에서 필답형 50점, 작업형(동영상) 50점이니 작업형을 중점적으로 공부하여야하지만 필답형에서 점수를 많이 취득하여야 합격 가능성이 더 올라가므로 가리지말고 열심히 공부해야합니다.

 

저는 현재 가스산업기사를 가지고 있지만 내년 1회차에 71회 가스기능장 시험을 준비하려고 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선임용량에는 차이가 없지만 내년부터 고압가스 안전관리책임자 업무를 진행할 예정이어서 공부도 할겸 취득하려고 합니다. 

 

올해 위험물기능장을 취득했지만 확실히 기사자격증 보다 난이도가 더 있으며 성취감도 더 컸던 것 같습니다. 가스기능장을 공부하며 이 블로그에 공부흔적을 많이 남겨 다른 분들도 같이 블로그에서 열심히 공부하였으면 좋겠네요.

 

------------------------------------------자격증 정보---------------------------------------------

 

1. 기본정보

(1)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2)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3) 응시자격 : 제한 있음
(4) 홈페이지 : www.Q-net.or.kr

2. 자격정보

(1) 가스기능장
① 가스기능장이란 가스기능장 시험의 응시자격을 갖춘 자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가스기능장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② 가스기능장 자격은 사용량이 증가하는 가스와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되는 가스 설비에 대하여 가스제조 작업의 기기안전, 취급안전, 제조 안전에 대한 사항과 고압가스 안전관리, 가스사업 및 도시가스 사업에 대한 지식을 익힘으로써 가스로 인한 폭발, 화재, 독성물질 누출 등의 중대사고(Major Accident)를 예방하기 위하여 각종 규제대책과 제반시설의 검사 등 산업안전관리를 담당할 전문화된 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가스 기능장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

(2) 자격 특징
① 가스와 관련된 자격 제도는 가스기능사, 가스산업기사, 가스기사, 가스기능장, 가스기술사 등으로 나누어진다. 가스기능장은 안전관리 분야에 관한 국가기술자격 제도로서, 안전관리 분야에서는 유일한 기능장 자격이다.
② 가스기능장은 고압가스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현장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현장의 중간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3. 시험정보

(1) 응시자격 :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기술자격 소지자관련학과 졸업자비관련학과 졸업자순수 경력자

· 동일(유사)분야 기능장
· 산업기사 + 5년
· 기능사 + 7년
· 동일종목외 외국자격취득자
· 해당직무분야 산업기사 또는 기능사자격취득 후 기능대학 기능장과정 이수자(예정자) 폐지 9년(동일, 유사 분야)

※ 관련학과 : 실업계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의 기계공학 또는 화학공학 등 관련학과
※ 동일직무분야 :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섬유·의복, 전기·전자, 정보통신, 식품가공, 인쇄·목재·가구·공예, 농림어업, 환경·에너지

(2)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시험과목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필기시험

가스이론, 가스의 제조 및 설비, 가스안전관리 및 공업경영에 관한 사항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실기시험 가스실무 복합형[(필답형(1시간 30분)+작업형(1시간 30분 정도)]

(3) 합격 기준 :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4)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5) 검정현황

연도필기실기응시합격합격률(%)응시합격합격률(%)

2015 1,254 515 41.1% 992 185 18.6%
2014 1,211 521 43% 951 130 13.7%
2013 935 321 34.3% 982 140 14.3%
2012 1,139 462 40.6% 827 122 14.8%
2011 995 306 30.8% 566 92 16.3%

※ 필기

가스기능장 필기

※ 실기

가스기능장 실기

4. 활용정보

(1) 취업
  ① 각 지역의 도시가스업체, 고압가스 전문 제조업체, 저장업체, 판매업체 등으로 취업할 수 있다.
  ② 기타 도시가스 사업소, 용기제조업소, 냉동기계제조업체 등 전국의 고압가스 관련업체로도 취업이 가능하다.
  ③ 건설회사 등으로도 진출한다.
  ④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등의 기술직으로 입직하기도 한다.
  ⑤ 소방직 공무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2)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3) 가산점
  ①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을 준다. 가스기능장에게는 공업직렬의 화공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4) 자격부여
  ① 가스기능장 자격을 취득하면, 도시가스사업법에 의한 안전관리자 선임자격, 액화석유가스 안전관리 및 사업법에 의한 안전관리자 선임 자격이 주어진다.
  ②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가스시설시공업),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안전관리대행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동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가스기능장 (자격증 사전, SS 직업문제연구소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