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압가스4

고압가스 특정가스 무허가 사용에 따른 벌칙 고압가스를 사용하는 사업장에서는 항시 신고/허가 사항에 의한 고압가스를 취급하셔야 합니다. 허나, 신고/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특정고압가스를 사용하게 된다면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해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 제42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5조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을 위반한 자 2. 제7조나 제21조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 3. 제13조제2항이나 제22조제1항을 위반한 자 4. 제16조의2제1항에 따른 정기검사나 수시검사를 받지 아니한 자 5. 제16조의3제1항에 따른 정밀안전검진을 받지 아니한 자 6. 제18조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른 회수등의 명령을 위반한 자 7. 제20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신고한 .. 2022. 8. 26.
독성가스 누출 시 대처방법 독성가스는 산업현장에서 제조, 가공, 실험 등에 유용하게 쓰이지만 취급 부주의 또는 설비의 노후화 등에 의하여 누출이 되었을 때 사람이 이 독성가스를 흡입할 시 인체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기때문에 취급에 유의하여야 하는데요. 이번 게시물에서는 독성가스 누출 시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독성가스 관련 사고 중 많은 사고가 발생하는 물질은 암모니아, 염소 등입니다. 암모니아의 경우 냉매로 많이 사용되기때문에 가장 많이 발생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암모니아 냉매 제조 관련 사업장에서는 소량 누출은 굉장히 일상적인 사건이라고 하는데요, 암모니아의 경우 톡쏘는 냄새가 엄청 강하여 자극적이기때문에 누출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염소가스의 경우 모두 아시다시피 약간만 흡입해도 인체에 치명적인 .. 2021. 11. 16.
가스기능장 첫 자격증 리뷰로 가스기능장을 선택하였습니다. 가스기능장은 산업현장에서 고압가스, 도시가스, 액화석유가스의 관리 자격에 해당하는 전문 자격증으로 취업 시 우대를 받는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가스 자격증은 전기자격증과 더불어 어려운 시험 중 하나인데 자격 취득자가 그렇게 많지가 않고 산업안전자격증처럼 많이 응시하는 자격증은 아닙니다. 허나 고압가스를 일정량 이상 사용하려면 자격증 소지자만이 법적선임이 가능하기에 꼭 필요한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가스 자격증은 가스기능사, 가스산업기사, 가스기사, 가스기능장, 가스기술사 순으로 뒤로 갈수록 난이도가 있으며 각 자격증마다 응시자격이 다 다릅니다. 고압가스의 사용량 및 저장량에 따라 가스 선임자격증도 달라지는데 가스산업기사 이상이면 선임용량이 무제한이어서 가스산.. 2021. 10. 7.
수소의 위험성? 수소는 지구상에서 가장 가벼운 기체로 원소주기율표 1족 1주기에 위치한 물질입니다. 산업 현장에서는 오랜기간 동안 사용되어 왔지만 사용 빈도, 사고 사례가 적기때문에 큰 관심을 받지 못했습니다. 최근 19년 강릉 수소탱크 폭발사고로 인해 국내에서 많은 이슈가 있었고 최근 전세계가 친환경 이슈로 인해 수소자동차, 수소 연료전지에 각광을 받으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수소를 떠올리면 폭발이라는 단어가 가장 먼저 떠오르기 때문에 수소 자동차 타다가 터져서 폭발하는거 아니야? 생각합니다. 인식에 대한 문제가 있으므로 정부 및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는 국민들의 이런 인식을 전환시켜줘야만 합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수소가 어떤 물질이며 어떤 위험성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 2021. 6.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