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환경2 Jar-test의 중요성 자-테스트 [ jar-test ]의 정의 처리될 배수에 가장 적당한 응집제의 종류, 첨가량, 첨가조건 등을 테스트하는 응집시험. 그리고 배수 처리시설일 때는 동절의 수온이 10℃ 이하로 되면 floc의 형성이 곤란하여 하절에 행한 자-테스트의 결과를 동절에도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것은 잘못이다. 동절에는 다시 jar-test를 해야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테스트 [jar-test] (광물자원용어사전, 2010. 12., 한국광물자원공사) 보통 사업장 내 폐수처리장에서는 처음 설계된 공정의 공법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허나 공장의 제품 변경, 연구소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성상 변화가 다양할 수 있으므로 자가 Jar-test는 물론 약품 변경 및 약품의 투입위치 등을 고려해볼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 2021. 6. 4. 폭기조의 DO농도가 안뜬다면? 환경 방지시설 중 하나인 폐수처리장 폭기조의 DO농도가 안뜬다면 확인해볼 사항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로 폭기량을 확인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폭기조의 DO 값은 폭기조의 용존산소량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DO값이 뜨지않는다는 것은 용존산소량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폭기되는 양을 더욱 증가시켜 용존 내로 공기를 공급하여 산소를 채워주어야 합니다. 때문에 부족한 산소량 만큼 폭기량을 더 증가 시켜주고 DO농도의 추이를 지켜봅니다. 두번째로 폭기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했을 때 폭기상태가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부분부분 폭기가 되지않는다? -> 에어배관의 리크 가능성을 염두해야합니다. 세번째로 육안으로 폭기가 모자르지않을 정도로 되는 것을 확인했는데도 DO값이 뜨지 않는다? -> 산기관 이탈 확률이 .. 2021. 4.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