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험물55

관이음의 설계기준 3가지 위험물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에 명시된 배관에 사용하는 관이음의 설계기준(관배분) 1. 관이음의 설계는 배관의 설계에 준하는 것 외에 관이음의 휨특성 및 응력집중을 고려하여 행할 것. 2. 배관을 분기하는 경우에는 미리 제작한 분기용 관이음 및 분기구조물을 이용할 것. 다만 이 경우 분기구조물에 보강판을 부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분기용 관이음, 분기구조물 및 리듀서는 원칙적으로 이송기지 및 전용기지 내에 설치할 것 위험물기능장 실기 41회의 과년도기출문제입니다. 2021. 3. 12.
위험물기능장의 물질명 유추하는 문제 모음 *아래 화학식 및 지정수량 등 적어 놓은 것들은 문제에 출제된 그대로입니다. 1. 비중 1.82 녹는점 44.1℃인 담황색의 고체로 마늘냄새가 나는 위험물은? 황린 화학식 : P4 지정수량 : 20kg 보관방법 : pH 9정도의 알칼리 수용액에 넣어 보관한다. 연소반응식 : P4 + 5O2 -> 2P2O5 2. 무색투명한 특유의 향이 있는 액체로서 분자량이 74인 물질 디에틸에테르 화학식 : C2H5OC2H5 3. 무색의 액체로 특유의 냄새가 나고 분자량이 53인 제1석유류 물질 아크릴로니트릴 화학식 : CH2=CHCN 4. 제1류 위험물로서 무색무취이고 투명한 결정으로 녹는점이 212℃이며, 비중이 4.35이고, 햇빛에 의해 변질되어 갈색병에 보관하는 위험물은? 질산은 화학식 : AgNO3 분해반응식 .. 2021. 3. 12.
이동탱크저장소의 위험성 경고표지 위험물 기능장 41회 실기 과년도 기출문제입니다. 부착위치는 이동탱크저장소의 전면 상단 및 후면 상단이 되겠습니다. 규격 및 형상으로는 아래 그림과 같이 60cm이상*30cm이상의 횡형사각형이 되겠으며 색상 및 문자로는 흑색바탕에 황색반사도료로 "위험물"이라고 표기할 것이 명시되었습니다. 2021. 3. 12.
동식물유류의 종류 및 요오드값의 정의 동식물유류란? 정의 - 동물의 지육 또는 식물의 종자나 과육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1기압에서 인화점이 250℃미만인 것 요오드값이란? 정의 - 유지 100g에 부가되는 요오드의 g수 요오드값에 따른 3가지 종류 구분 / 항목 요오드값 반응성 불포화도 종류 건성유 130 이상 크다 크다 해바라기유, 동유, 정어리기름, 아마인유, 들기름(해동정씨, 아들) 반건성유 100~130 중간 중간 채종유, 목화씨기름, 참기름, 콩기름(채씨 콩참) 불건성유 100 이하 낮다 낮다 올리브유, 피마자유, 야자유, 동백유(올피야동) 위험물기능장 실기 40회의 과년도기출문제입니다. 2021. 3. 12.
보일오버현상(boil over) 보일오버(boil over)란? 정의 - 중질유탱크에 화재 시 열파가 서서히 전파되어 탱크의 저부에 있는 물에 도달하였을 때 물이 갑자기 증발하여 대량의 수증기가 발생하여 탱크 내 잔존기름이 분출하는 현상. 쉽게 말해 위험물을 저장하는 탱크에는 탱크 내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결로현상이 발생함으로 물이 수시로 생기게 됩니다. 이 경우 물과 기름이 공존하게 되는데 물의 비중보다 기름의 비중이 가볍기때문에 기름은 위로 올라가고 물은 아래로 가게됩니다. 이 상황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시 탱크가 달궈지면서 탱크의 저부에 있는 물이 온도에 의해 수증기로 변하게 되면서 기름이 분출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위험물 탱크를 관리하게 되면 평상 시 수시로 수분을 제거해주는 작업을 해줘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위험물기능장 실기 .. 2021. 3. 12.
밸브 없는 통기관의 설치기준 아래 사진은 밸브 없는 통기관의 사진입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아래 블로그에서 사진을 인용하였습니다. 밸브 없는 통기관의 설치기준 5가지를 쓰라는 문제이지만 저는 너무 긴 문장 하나를 뺐습니다. (직선가통(통)) 1. 직경은 30mm이상일 것 2. 선단은 수평면보다 45도 이상 구부려 빗물 등이 침투하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3. 가는 눈의 구리망 등으로 인화방지장치를 할 것 4. 통기관은 가스 등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굴곡이 없도록 할 것 5. 통기관의 선단은 건축창의 창, 출입구 등의 개구부로부터 1미터 이상 떨어진 옥외의 장소에 지면으로부터 4미터 이상의 높이로 설치하되, 인화점이 40도시 미만인 위험물의 탱크에 설치하는 통기관에 있어서는 부지경계로부터 1.5미터 이상 이격할 것 마지막 문장은 제외.. 2021. 3. 11.
포소화약제 저장탱크의 설치기준 포소화약제 저장탱크의 설치기준입니다.(화기포가포) 1. 화재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2. 기온의 변동에 의하여 포의 발생에 장애를 주지아니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다만 기온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아니하는 포소화약제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포소화약제가 변질될 우려가 없고 점검이 편리한 장소에 설치할 것 4. 가압송수장치 또는 포소화약제 혼합장치의 기동에 따라 압력이 가해지는 것 또는 상시 가압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에 있어서는 압력계를 설치할 것 5. 포소화약제 저장량의 확인이 쉽도록 액면계 또는 계량봉 등을 설치할 것 위험물기능장 38회 실기 과년도 기출문제입니다. 2021. 3. 11.
위험물 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하는 용어의 정의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별표 1에 나와있는 용어의 정의입니다. 용어의 정의 기체 : 1기압 및 20℃에서 기상인 것 액체 : 1기압 및 20℃에서 액상인 것 또는 20℃ 초과 40℃ 이하에서 액상인 것 특수인화물 : 이황화탄소, 디에틸에테르 그 밖에 1기압에서 발화점이 100도 이하인 것 또는 인화점이 영하 20도 이하이고 비점이 섭씨 40도 이하인 것을 말한다. ​ 제1석유류 : 아세톤, 휘발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21도 미만인 것을 말한다. ​ 알코올류 : 1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의 수가 1개부터 3개까지인 포화1가 알코올(변성알코올을 포함한다)을 말한다. ​ 제2석유류: 등유, 경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21도 이상 70도 미만인 것을 말한다. ​ 제3석유류 : 중유, .. 2021. 3. 11.